독일에서 출산하기로 결정하고 독일에서 출산한 한국 사람들의 후기를 많이 찾아 읽었다. 그리고 대강의 흐름을 상상했었다. 하지만 그 많은 후기 중에 나와 같은 건 단 하나도 없었다. 처음부터 달랐다. 정기검진 하러 온 산부인과에서 구급차를 타고 출산병원에 간 후기는 없었으니까.

독일출산에서 가장 걱정스러웠던 건 아무래도 언어였다. 산부인과에 검진을 가서도 항상 새로운 단어를 맞닥트렸고, 내 몸에 나타난 변화를 설명하려면 일단 구글부터 켜야 했다. 임신 중에 독일어 스트레스를 추가로 받고 싶지 않아서 독일어로 된 출산 관련 책은 볼 생각도 하지 않았고, 인터넷에서 임신과 출산 시 꼭 필요한 단어 리스트 정도만 알고 있었다. 단어를 아는 것과 사용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인데, 출산할 때는 이 차이가 너무나 극명했다. 목소리를 입 밖으로 내는 것조차 힘들었으니까. 남편이 내 입 가까이에 귀를 대고 몇 번을 시도해서 내 의사를 조산사에게 전달하는 원초적인 시스템만 있을 뿐.

출산 후기들과 또 달랐던 건, 가능할 때까지 내 배에 CTG 선들이 연결돼 있었던 거다. 태아의 심박수 이상이 감지돼서 병원에 간 만큼, 심박수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필요가 있었다. 내 기억으론 그 선들을 아이가 나올 때까지 달고 있었던 것 같은데, 그러고 어떻게 이 자세 저 자세를 취했는지 모를 일이다. 어느 순간 선을 떼어냈는데 내가 기억하지 못할 수도 있겠다. 잊으라고 해도 잊지 못할 것 같은 건, 아직 나오지 않은 아이의 머리에 상처를 내고 피를 뽑아 체내 산소 포화 정도를 확인한 거다. 아직 배에 있는 아이의 머리에, 아이가 나올 길을 거슬러 들어가 메스로 상처를 내고 피를 채취했다. 다섯 번. 아이는 2년이 지난 지금도 머리카락 사이에 다섯 개의 상처를 가지고 있다.

진행이 더뎌지면 안 됐기에 무통주사(PDA)도 맞지 못했다. 정신이 혼미한 가운데 의사가 이번 혈액 채취를 마지막으로 분만을 좀 더 시도해 보고 안되면 수술을 해야 한다고 얘기하는 걸 들었다. 그때 나는 뭐 어떤 결정을 할 뇌의 용량도 남아있지 않았다. 변비니 수박이니 하는 건 말도 안 되게 고상한 표현이다. 네가 죽거나 내가 죽거나 둘 중 하나는 해야 이 고통이 끝나겠구나 생각하는 참이었으니.


그렇게 아이는 세상에 나왔다. 아이를 품에 안기 전 잠깐 숨을 고르는동안, 아이의 목에 감겨있던 탯줄을 돌려 풀었다. 세 바퀴나. 그렇다. 목에 감긴 탯줄이 심박수를 떨어뜨렸던 거다. CTG를 진행하는 그 40분 동안 이상이 감지됐던 게 천만다행이었다.

옆에서 출산과정을 모두 지켜본 남편은 아이가 나오자 감격한 듯 눈이 울렁울렁했다. 나야 제정신이 아니었다 치고, 맨 정신으로 그 과정을 지켜본 남편에겐 출산이 가감 없이 느껴졌나 보다. 출산 이후, 나는 두 번째 아이는 남자가 임신할 수 있을 때 가질 거라고 이야기했다.


아이가 나오고 남편이 탯줄을 잘랐다. 그리고 나에게 내 태반을 볼거냐고 물어봤다. 그땐 순간 놀라고 약간 무서운 마음에 보지 않겠다고 했는데, 아이를 무럭무럭 자라게 해 준 내 몸의 일부에게 그동안 수고했다고 작별인사 정도는 해줄걸 그랬다.

아이를 가슴에 안은채로 분만실 옆에 붙어있는 방으로 옮겨졌다. 비교적 편안하고 차분한 분위기의 그 방에서 아이는 공식적으로 이름을 가졌다. 독일에서는 보통 출생하고 바로 아이 이름을 지어준다. 아이 얼굴을 보고 그 자리에서 바로 지을 수는 없으니 임신기간에 이름을 고민하고, 임신 후기쯤엔 잠정적인 이름을 부모가 정해놓는다. 하지만 지인에게 출산 전에 이름을 알리지는 않는다고.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이름을 갖는다는 건, 병원에서부터 간호사와 의사들이 아이에게 이름을 불러준다는 거다. 별 일이 없으면 잘 때도 엄마 침대 옆에 이동식 아기 침대를 붙여놓는 식으로 항상 같이 있지만, 검사를 받으러 가거나 수유 연습을 하거나 할 때 벌써부터 한 명의 고유한 이름을 가진 사람으로 대접을 받는 것이다.

한 시간 정도 후, 품에 안긴 아기와 남편과 함께 병실로 간다. 이제부터 초보 엄마 아빠의 본격적인 사투가 시작된다. 

+ Recent posts